기하 브라운 운동 2

레버리지 펀드의 장기 성과

레버리지 펀드의 수익율은 기초 지수(underlying index) 수익율의 2배나 3배를 목표로 합니다. 인버스 펀드인 경우에는 목표가 -1배이고, 이 두 가지가 결합된 인버스 레버리지 펀드인 경우에는 -2배나 -3배입니다. 여기서 절대 잊어서는 안될 사실은 수익율이 하루(daily) 수익율이라는 것입니다. 하루를 넘어가면 펀드의 수익율이 펀드의 목표와 일치하지 않습니다. 예컨대 지난 한 달 동안 S&P 500 지수의 수익율이 10%였다고 해서 3x 레버리지 펀드의 한 달 수익율이 30%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.아래 표는 3x 레버리지 펀드의 5일간 성적입니다(주석 1). 매일 기초 지수 수익율의 3배를 충실히 따라 갔지만 5일 동안 수익율은 2.8배 정도에 그쳤습니다. 물론 어떤 경우에는 3배가 넘을 ..

Real World 2025.04.03

주가의 움직임 #4 - 기하 브라운 운동

산술 브라운 운동으로는 주가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. 산술 브라운 운동을 한다면 주가가 - 평균적으로 - 일정한 양만큼 증가(또는 감소)하기 때문에 주가가 음수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또 다른 문제는 수익율에 대한 가정이 현실적이지 않다는 겁니다. 예를 들어 현재 주가가 50원일 때에도, 80원일 때에도, 100원일 때에도 주가가 10원만큼 오른다면 수익율은 20%, 12.5%, 10%로 낮아지게 됩니다. 주가가 높으니 수익율이 낮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. 따라서 주가는 - 평균적으로 - 일정한 비율만큼 움직인다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. 다만, 그 비율이 무작위 보행을 하는 것입니다.주가와 기하 브라운 운동주가가 움직인 비율이 곧 수익율입니다. 주가가 100원에서 1..

Workshop 2025.02.15